미국의 도시 성장과 관련된 논의에서 '선벨트(Sun Belt)'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선벨트는 해가 비치는 시간이 길어 날씨가 온화하다는 도시환경으로 비롯된 이름이다.
선벨트는 미국 북위 37° 아래에 위치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들로 이야기된다. 주로 선벨트는 쾌적한 해안의 환경과 풍부한 고용 창출을 가진 목적지로서의 도시 이미지가 생각나게 한다. 대표적으로 캘리포니아주부터 뉴멕시코주까지 이르는 남부 지역이 선벨트에 해당한다.
남부의 멕시코만 연안 공업 지역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입지한 휴스턴과 석유 자원이 풍부한 텍사스를 중심으로 항공 우주 산업과 석유 화학 산업이 성장하였다. 또한 태평양 연안 지역은 시애틀을 중심으로 항공기 산업이 발달하고 있으며, 샌프란시스코의 실리콘 밸리를 중심으로 세계적 규모의 첨단 산업이 발달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참고로 선벨트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는 용어에는 스노벨트(스노우벨트, Snow Belt)와 러스트벨트(Rust Belt)가 있다. 스노벨트는 눈이 많이 내리는 미국 북동부 지역의 오대호 근처 지역에 위치하며, 대표적으로 뉴욕, 시카고, 보스턴 등의 도시가 이에 해당한다. 러스트벨트는 미국 중서부 지역과 북동부 지역의 일부 영역을 의미하며,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인 디트로이트를 비롯해 피츠버그,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등의 지역이 해당한다. 이 지역들은 설비 노후화, 임금 상승, 자원 고갈, 해외 자원에 대한 의존도 증가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고, 1960년 대에 침체에 들어가며 이곳에 있던 공장들이 다른 지역(미국의 남부 지역, 태평양 연안 지역 등)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스노벨트와 러스트벨트는 선벨트 성장 이전에 전통적인 공업지역으로 발달한 지역이며, 첨단산업(Ex. 반도체, 항공기, 우주산업 등)과 같은 새로운 산업의 등장으로 고용기회, 매력적인 도시환경 등의 이유로 인구가 이동하게 되면서 선벨트의 도시들이 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선벨트가 어떻게 두드러진 인구 성장을 보이며 발달할 수 있었을까?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남부와 서부 도시들을 향해 편향된 방위 및 다른 연방 지출
- 서비스 및 정보 경제의 확대
- 첨단 산업의 붐과 풍요로움의 증가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저렴한 에어컨의 도입(계절에 따라 덥고 습한 위치에 대한 보완, 편의성과 편안함)
- 상대적으로 보다 높은 고용의 기회와 경쟁력 있는 임금 (강력한 유인 동력)
-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남부, 라스베이거스에 위락 및 관광 산업의 강한 집적 :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성장에 대한 흡인력
또한 1970년대 북동부와 남서부의 많은 지역에서 발생한 경기 침체는 새롭게 등장한 젊은 연령의 근로자들을 노동인구로 흡수할 수 없었다. 이에 고용되지 못한 젊은 노동인구들이 남부와 서부의 도시 지역으로 고용의 기회를 가지기 위해 이동한 것도 선벨트 성장의 이유로 볼 수 있다.
결국, 사람들이 삶의 '질적' 요인을 중시하기 시작하면서 보다 좋은 환경, 보다 많은 임금, 보다 높은 고용의 기회 등을 찾아 남부 및 서부 지역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이 증가하면서 반세기 동안 선벨트 지역으로의 인구 유입이 두드러지게 증가했고, 선벨트가 성장하기 시작했다.
- Frey, W. H. (1993) "The new urban revival in the United States." Urban Studies 30:741-774.
- Fuguitt, G. V. and Brown, D. L. (1990) Residential preferences and population redistribution: 1972-1988. Demography 27:589-600.
- Glaeser, E.L., and Shapiro, J. (2001) Is There a New Urbanism? The Growth of U.S. Cities in the 1990s. Discussion Paper 1925, Harvard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 신정엽 외 (2011) 도시의 탐색 : 도시공간이론과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시그마프레스, 10-13. | 반세기 동안 좋은 날씨, 낮은 인구밀도, 숙련된 거주자가 있는 지역으로 인구 이동의 경향이 지속되었다(Glaeser & Shapiro, 2001). 또한 숙련된 거주자가 있다는 것은 이주자를 위한 고용이 있음을 의미한다. 기술적인 변화로 인해 전 지역에 걸쳐 도시의 어메니티가 확산되었고, 주거에 대한 의사결정 프로세스에서 환경, 라이프 스타일, 입지 어메니티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Frey, 1993). 인구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은 종종 의사 결정에서 삶의 질 요인을 중시한다(Fuguitt & Brown,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