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GIS2

QGIS 조인 - 속성 파일(.csv) 추가하고 벡터 파일과 조인(join)하는 방법 QGIS에서 공간분석 수행을 위한 과정 중 파일을 불러오고 분석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파일을 준비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에 엑셀 파일을 csv 파일로 변환하여, QGIS에 csv 파일을 추가하고 shp 파일과 조인(결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공간분석 파일 준비하기 일반적으로 csv 파일은 점(point) 데이터를 활용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엑셀 파일에 위도, 경도 값이 있으면 도형 정의에서 별도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shp 파일에 속성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쓰기 때문에 그럴 경우에는 도형없음을 선택하여 레이어를 불러오면 됩니다. 그럼 csv 파일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속성 파일(.csv) 레이어로 추가하기 엑셀에 입력된 파일을 추가할 경우에는 엑셀에서 .xlsx 등의 파일.. 2024. 1. 17.
QGIS 버퍼 공간분석 - 버퍼(buffer) 생성하는 방법, 원형버퍼 만드는 법(접근성 분석) GIS를 통해 공간을 분석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버퍼(buffer)’ 분석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또한 QGIS에서 버퍼를 생성할 경우 다각형 모양으로 버퍼가 나오게 되는데, 원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버퍼를 설정하는 방법도 알려드릴게요. 버퍼 공간분석 수행하기 버퍼(Buffer)란? 버퍼(buffer)는 완충 공간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특정 점, 선, 면에서 부터 일정 거리의 구역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역세권, 주거 및 상업 지역의 그린벨트, 오염 보호 구역 등과 같은 완충지역입니다. 버퍼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공간분석은 주로 중첩분석과 함께 이루어집니다. 중첩분석은 다음에 알아보도록 하고, 오늘은 QGIS에서 포인트 데이터를 불러 와서, 포인트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버.. 2024.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