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리학 함께하기4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의 개념과 우리나라의 사례 지역(+서울 상권 공실률) 어느 동네가 유명해지는 소위 '핫플'이 되면, 사람들이 많이 찾게 되어 그 지역과 주변 지역의 관심도가 높아져 사람들의 발길이 많아지게 됩니다. 그저 그런 일상적인 동네였다가 유명해지면서 부동산 가치가 높아져 기존 거주자 또는 임차인들이 높아진 부동산 가격을 감당할 수 없어서 살고 있던 동네에서 쫓겨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일컫는 말이 "젠트리피케이션"입니다. 요즘엔 뉴스나 신문 기사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 말이기도 하죠. 언젠가 한 번이라도 들어봤던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단어에 어떤 유래가 있는지 살펴보고, 한국에서의 젠트리피케이션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던 지역을 알아봅시다. 그리고 이러한 젠트리피케이션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까지 다뤄보려고 합니다. 젠트리피케이션 gen.. 2023. 9. 25.
지오파크(geopark, 지질공원) 알아보기 | 특징 및 세계 지오파크 현황 지오파크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한국에서는 지질공원이라는 명칭이 더욱 익숙할텐데요. 지리학과에서는 지오파크라는 명칭을 더 사용한답니다. geo-를 지질로 번역하기에는 geo가 담고있는 의미를 내포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종종 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저는 지오파크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하고, 대학교, 대학원에서 자연지리학 교수님께서도 지오파크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그래서 이번에는 지오파크라고 명칭을 사용하고 국내 지오파크를 다룰 때는 지질공원이라고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지오파크(geopark)란? 지오파크는 국제적으로 지리,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장소과 경관을 보호하고, 교육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관리하는 단일의 통합적인 지리적 영역입니다. 일반적으로 지오파크는 유네스코(UNESCO)에서 .. 2023. 9. 19.
Resilience, Resilience City (리질리언스, 레질리언스, 회복탄력성) Resilience 1973년 생태학자 Holling의 연구 : 생태적인 방해나 혼란이 발생하였을 때 스스로 기능을 유지하거나 회복할 수 있는 생태계 시스템의 능력. 2000년대 초부터 도시계획 분야에서 연구 본격화. 회복력, 탄력성, 회복탄력성, 리질리언스, 탄력회복성 등으로 다양하게 언급되며 그에 따라 개념 정리도 다양한 편. 'To jump back'의 뜻을 가진 라틴어 'resilire', 'salire'에서 유래된 resilience는 어원상 '회복 혹은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기본적으로는 '어려움으로부터 회복하는 능력(the ability to recover from adversity)'을 의미. 어떠한 충격에 대응하여 충격을 최소화하고 빠른 회복을 위한 능력으로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2021. 6. 28.
[도시지리학] 선벨트(Sun Belt)의 성장 미국의 도시 성장과 관련된 논의에서 '선벨트(Sun Belt)'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선벨트는 해가 비치는 시간이 길어 날씨가 온화하다는 도시환경으로 비롯된 이름이다. 선벨트는 미국 북위 37° 아래에 위치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들로 이야기된다. 주로 선벨트는 쾌적한 해안의 환경과 풍부한 고용 창출을 가진 목적지로서의 도시 이미지가 생각나게 한다. 대표적으로 캘리포니아주부터 뉴멕시코주까지 이르는 남부 지역이 선벨트에 해당한다. 남부의 멕시코만 연안 공업 지역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입지한 휴스턴과 석유 자원이 풍부한 텍사스를 중심으로 항공 우주 산업과 석유 화학 산업이 성장하였다. 또한 태평양 연안 지역은 시애틀을 중심으로 항공기 산업이 발달하고 있으며, 샌프란시스코의 실리콘 밸리를 .. 2020. 1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