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NSS2 [측지기사 - GNSS] GNSS 위치결정방법 | 절대관측방법, 상대관측방법, 위상차관측방법(차분법) GNSS 위치결정방법 [측지기사 - GNSS] 위성측위시스템(GNSS)의 개념 | GPS, 위치측정 GNSS 측량이란? 3차원 또는 4차원 측지를 의미한다. 정확도는 1/1,000,000이며 기상조건은 무관하나 천둥과 번개의 영향은 있다. 가시구역이 필요 없고, 위성을 추적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27개 from-sunnyday.tistory.com 지난번 위성측위시스템의 개념과 GPS, 위성측위 내용에 이어서 GNSS 위치결정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GNSS 위치결정방법에는 절대관측방법과 상대관측방법으로 나뉘게 됩니다. 개념을 알아보고 시험에 자주 나오는 설명은 파란색으로 표시하였으니 유의하여 읽어보세요! 절대 관측방법 (1점 측위) 4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 가운데 C/A-co.. 2023. 9. 13. [측지기사 - GNSS] 위성측위시스템(GNSS)의 개념 | GPS, 위치측정 GNSS 측량이란? 3차원 또는 4차원 측지를 의미한다. 정확도는 1/1,000,000이며 기상조건은 무관하나 천둥과 번개의 영향은 있다. 가시구역이 필요 없고, 위성을 추적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27개의 위성으로 24시간 내내 관측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다. 좌표계가 통일되어 있으며, 수신기 1대당 1인이 필요하다. 장비 설치가 용이하며 고속으로 관측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GPS의 개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은 현재 GLONASS와 함께 완전하게 운용되고 있는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 중 하나이다. GPS에서는 중궤도를 도는 24개(실제는 그 이상)의 인공위성에서 발신하는 마이크로파를 GPS 수신기에서 수신하여 수신기의 위치벡터를 결정한다. GNSS의 .. 2023. 9.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