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측량이란?
측량은 지구 및 우주공간상에 존재하는 모든 점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정량적 및 정성적 해석이 가능하다. 측량의 3요소는 거리(거리 측량), 방항(각), 고저차(높이 - 수준측량이라고도 함)이며, 측량의 4요소에는 3요소에 시간이 추가되는 4차원 측량이 포함된다.
기본삼각점 설치를 위한 정밀측지측량과 기본수준점 설치를 위한 수준측량, 국토의 중력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중력측량, 국토의 지자기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지자기측량, 삼각점 등의 위치측량을 위한 인공위성측량, 그리고 연안해역 이용과 개발계획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안해역 기본조사 등이 있다.
평면측량과 대지측량
측량은 평면측량과 대지측량으로 나눈다. 우선 평면측량은 국지적 측량, 소지 측량이라고도 하며, 지구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허용 정밀도가 1/1,000,000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허용 정밀도가 1/10^6 일 경우, 반경은 11km이며 면적은 400km^2로 볼 수 있다.
대지측량은 측지학적 측량이라고도 하며, 지구 곡률을 고려하여 허용정밀도가 1/1,000,000 이내인 경우를 의미한다. 관측의 정밀도를 최대로 높이고 싶을 경우에는 곡률을 고려하는 측지측량(대지측량)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대지측량의 구분
또, 대지측량은 기하학적 측량과 물리학적 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기하학적 측량은 지구 표면 상 모든 점들의 상호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이고, 물리학적 측량은 지구 내부 특성을 바탕으로 형태, 운동 등과 같이 물리학적 요소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R: 지구 반경 약 6,370km
D: 지구표면을 따라 관측한 호의 길이(실제거리)
d: 수평면을 따라 관측한 현의 길이(평면길이)
d-D(거리오차) = 1/12 X D^3/R^2 으로 나타내며 평면상의 오차보정량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거리의 허용오차, 허용정도(정밀도)는 d-D/D = 1/12(D/R)^2으로 계산할 수 있다.
- d/2 = Rtanθ/2
- D = Rθ, θ = D/R
대지측량(측지측량)의 허용한계
허용한계 | 직경(km) | 반경(km) | 면적(km^2) |
1/1,000,000 | 22 | 11 | 380 |
1/100,000 | 70 | 35 | 3850 |
1/10,000 | 220 | 110 | 3800 |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의 차이
기본측량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한다. 공공측량은 기본측량 이외의 측량 중 국가,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등의 공공기관에서 실시하는 모든 측량을 뜻하며, 관계법령 시행을 위해 기본측량을 기초로 실시한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8936호, 시행 2023. 6. 11)
제2조(정의)
1. "공간정보"란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제2조제1호에 따른 공간정보를 말한다.
1의 2. "측량"이란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로 표현하거나 도면상의 위치를 현지(현지)에 재현하는 것을 말하며, 측량용 사진의 촬영, 지도의 제작 및 각종 건설사업에서 요구하는 도면작성 등을 포함한다
2. "기본측량"이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말한다.
3. "공공측량"이란 다음 각 목의 측량을 말한다.
가.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이 관계 법령에 따른 사업 등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본측량을 기초로 실시하는 측량
나. 가목 외의 자가 시행하는 측량 중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측량
'측량및지형정보공간기사 >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측지학 - 노선측량] 완화곡선, 클로소이드 곡선, 3차 포물선 개념 이해하기 (0) | 2023.09.15 |
---|---|
[측지기사 - GNSS] GNSS 위치결정방법 | 절대관측방법, 상대관측방법, 위상차관측방법(차분법) (0) | 2023.09.13 |
[측지기사 - GNSS] 위성측위시스템(GNSS)의 개념 | GPS, 위치측정 (0) | 202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