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련 소프트웨어 사용하기/GIS

공간정보 - 집계구란?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서 집계구 데이터 다운받는 방법

by 썬이해 2024. 2. 1.
반응형

요즘 공간정보 분석을 하면서, 활용하고 있는 데이터가 있는데요. 정리해두면 좋을 것 같아서 가져와 봤습니다. "집계구"라는 개념인데요. 오늘은 집계구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집계구(Output Area)의 의미

집계구는 기초단위구를 기반으로 인구규모(최적 500명), 사회경제적 동질성(주택유형, 지가), 집계구 형상을 고려하여 구축한 최소 통계 집계구역이라고 합니다(SGIS). 시도-시군구-읍면동의 행정경계가 아니며, 읍면동보다도 더욱 적은 형상을 하고 있는 구역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집계구는 통계청에서 제작하고 제공하고 있는데요. 개인정보보호 및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해서 최소인구 300명, 최적인구 500명, 최대인구 1,000명을 설정하여 건물을 단독, 아파트, 비거주용으로 분류하고 기초단위구별 주택유형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집계구가 유사한 주택유형을 가지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평균지가는 필지별 지가를 기반으로 기초단위구의 평균지가를 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집계구가 유사한 평균지가를 가지도록 고려했다고 합니다. 또한 집계구 형상은 가시적인 측면에서 단순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정방형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합니다.
 

통계지리정보서비스 SGIS 에서 집계구 데이터 다운받는 방법

일단 통계지리정보서비스를 들어가줍니다. 하단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바로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로그인을 꼭 해주세요. 자료를 신청해서 다운받아야 하기 때문에 로그인은 필수입니다. 
https://sgis.kostat.go.kr/view/index

상단의 탭에서 자료제공 > 자료신청 으로 들어가서 필요한 자료를 신청할 수 있는데요. 신청하고 나서 승인이 되면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통계지리정보서비스 SGIS에서 제공하는 자료 형식

그 전에 제공하고 있는 자료를 한 번 살펴봤는데요. 자료 이름만 보고 아무거나 다운 받았다가 ㅎㅎ 똑같은 신청을 다른 자료로 두 번 했답니다. 어떤 자료가 필요한지 반드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통계자료와 통계지역경계가 있는데요. 통계자료txt 파일로 제공되고, 통계지역경계shp 파일의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원하는 시기의 원하는 자료를 신청해주면 됩니다. 밑에서도 말하겠지만 shp 파일에 진짜 경계만 있더라고요? 그래서 자료와 경계 둘 다 다운받아서 활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니라면 댓글 달아주세요)
저는 집계구의 경계도 필요하지만, 해당 조사에서 결과로 나온 통계도 필요하기 때문에 두 개 다 신청하였습니다.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서 집계구 자료 신청하고 다운받기

로그인하시고 자료신청 탭에 들어가시면,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칸이 나옵니다. 소속, 연락처, 메일주소, 요청목적을 선택하고 활용목적에는 간단하게 사용 이유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저는 집계구의 인구를 분석하고자 함이라고 작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제출동의 및 자료제공기간(필수)에서 위 내용에 동의한다는 체크박스를 선택해주면 됩니다.

 
다음으로는 자료를 선택하는 과정인데요. 여기서 받고자하는 자료를 신청해주면 됩니다.

  • 자료형태는 집계구격자
  • 집계구의 기준년도를 선택하면 됩니다. 2024년 2월 1일을 기준으로 2022년까지는 12월 31일 기준이며, 2023년은 6월 30일 경계 기준으로 올라와 있습니다.
  • 자료구분에서는 앞서 설명했던 통계자료통계지역경계를 선택하는 칸입니다.
  • 자료구분을 선택하시면 자료대상을 선택할 수 있게 뜹니다.

 
격자도 궁금해서 클릭해봤는데요. 원하는 격자 크기, 그리고 원하는 지역을 직접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원하는 데이터를 다 선택해주고 나면 신청 버튼만 눌러주면 됩니다. 저는 전국의 격자통계도 궁금해서 넣다보니 총 82건이 되었네요.
 

 
 
제가 신청해본 결과, 5-10분 이내로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승인이 되었습니다. 승인된 자료는 약 일주일동안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신청한 날에 미리 다운받으셔서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릴게요.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서 다운받은 자료 공간정보 연계방법 QGIS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서 집계구 자료를 다운받아보았는데요. 직접 열어보니까, shp 파일은 진짜 경계만 있고, txt 파일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있었습니다. shp 파일에 같이 제공해주면 편리할텐데요. 조금 아쉬웠습니다.
제공받은 자료를 QGIS 상에서 join 하여 활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설명자료를 살펴보니 통계자료 공간정보연계방법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었습니다.

  1. txt 파일을 테이블구조로 변환하라고 합니다. QGIS에서 활용할 예정이시라면, 저는 엑셀로 txt 파일을 불러와서 csv 파일로 내보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속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2. 필요 통계항목의 자료를 추출합니다. 코드를 통해서 원하시는 자료를 추출하면 될 것 같구요.
  3. shp 파일의 경계 코드와 자료의 두번째 필드를 이용하여 연계하면 된다고 합니다. 파일을 확인해보니 동일하게 사용하는 코드가 있어서 QGIS에서 어렵지 않게 조인이 가능할 것으로 보았습니다. 조인하는 방법은 해당 과정을 작성한 글이 있으니 참고 해주세요.

QGIS 조인 - 속성 파일(.csv) 추가하고 벡터 파일과 조인(join)하는 방법

QGIS에서 공간분석 수행을 위한 과정 중 파일을 불러오고 분석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파일을 준비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에 엑셀 파일을 csv 파일로 변환하여, QGIS에 csv 파일을 추가하고 shp 파일

from-sunnyda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