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보던 단계구분도더라도, 특별하게 표현해보고 싶다면?! 카토그램을 활용해보세요! 왜곡된 지도라서 표현하고자 하는 특정 통계 주제를 강조하여 전달할 수 있게 됩니다. 일그러져 보이는 지도라 뭐지? 싶은 지도이지만 적절한 설명을 곁들인다면 더욱 효과적인 통계 시각화 방법일 수 있답니다. 아주 간단하니 다음 방법만 차근차근 따라해보세요.
카토그램 Cartogram
일단 카토그램 Cartogram이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카토그램은 특정한 데이터 값의 변화에 따라 지도의 면적이 왜곡되는 그림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 통계 수치에 따라 면적을 표현하기 때문에, 어떤 지역의 통계 수치가 크면 실제 면적이 작더라도 크게 표현됩니다.
만약에 면적이 넓은 데 통계 수치는 작게 나타난다면 지도상에는 작게 표현되어 우리가 알고있는 일반적인 지도의 모습과는 다르게 왜곡되어 나타나는 것이죠.
따라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의 상대적인 공간분포를 시각적인 면에서 효과적으로 전달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왜곡되지만 그 왜곡된 부분이 강조되어 눈에 보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전달이 가능한 것이지요.
QGIS 카토그램 제작 방법
1) 필요한 shp 파일과 통계자료 정보이번 카토그램은 인구를 기준으로 제작해보려고 합니다. 인구를 통해 카토그램을 제작하면, 넓은 곳에 인구가 적게 살면 축소될 것이고 좁은 지역에 인구가 많이 살면 확대되어 나타날 것입니다. 좁은 지역에 얼마나 많은 인구가 살고있는지도 가늠해 볼 수 있겠죠?
- 사용한 통계 자료: 행정안전부_지역별(법정동) 성별 연령별 주민등록 인구수
- 행정경계: 읍면동 shp 파일
해당 자료를 QGIS에 불러와서 조인 기능을 활용하여 읍면동 shp 파일에 법정동 주민등록 인구수를 넣어주었습니다. 해당 인구수를 기준으로 카토그램을 제작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단순 인구수를 활용하였지만, 인구밀도, 일자리, 성별, 외국인 인구수 등등 원하는 통계 자료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시도 or 시군구 or 읍면동에만 맞게 넣어주기만 하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Cartogram3 플러그인 설치 및 활용
Github에 Cartogram3 플러그인과 관련된 정보가 올라와 있는데요. 해당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아요.
GitHub - austromorph/cartogram3: QGIS3 plugin to create anamorphic maps
QGIS3 plugin to create anamorphic maps. Contribute to austromorph/cartogram3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깃허브를 통해 설치하지 않아도, QGIS에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QGIS 내 상단 바의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를 눌러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Cartogram3을 검색하면 다음과 같이 보이고, 우하단에 있는 설치버튼을 눌러 해당 플러그인을 설치해주면 됩니다. (저는 이미 설치된 상태라서 재설치 버튼이 뜨네요 ㅎㅎ)
설치 이후에는 상단 바의 플러그인 옆에 있는 벡터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cartogram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compute cartogram'를 클릭하시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해당 창에서 카토그램을 제작하고자 하는 주제와 일치하는 항목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그 후 아래에서 Stop condition을 설정해주면 되는데요. 해당 조건이 되면 알아서 멈추면서 카토그램이 제작됩니다.
- max. number of iterations (최대 반복횟수): 많이 반복할 수록 좋지만, 알고리즘을 돌리는 시간이 길어짐. 최소 10번을 추천함
- max. average error (평균 면적 오차): 지도의 평균 면적 오차로, 설정값보다 작으면 플러그인 작동이 중지됨
해당 조건은 10과 10%로 설정되어 있는데요. 저는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숫자가 높아질 수록 플러그인이 돌아가는 시간이 꽤 걸리는데, 그렇게까지 하지않아도 충분하게 왜곡된 지도 형태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완성이 되면, 임시 파일 형태로 레이어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꼭 내보내기하셔야 다음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를 그대로 놔두지 않고 단계 구분을 하여 좀 더 보기 쉽게 만들어주었습니다.
원래의 제주도 모습은 약간 상상이 되지 않는 모습이지만 인구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 확대된 형태가 보이시나요?
제주도 특성상 읍면동이 특정 지역에 몰려있기 때문에 예쁜 모습은 아니지만 제주시 부분이 서귀포시 부분보다 확대되어 표현되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카토그램은 지도의 왜곡을 통해여 특정 주제를 지도로 재밌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처음보면 뭐야? 싶겠지만 비교를 통해 조금만 들여다보면 어떤 특징이 강조되었는지를 볼 수 있는 것이죠.
QGIS 카토그램3 플러그인 활용을 통핸 카토그램 제작 방법 어떠셨나요? 궁금한 점은 댓글 달아주세요~
'관련 소프트웨어 사용하기 > 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정보 - 집계구란?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서 집계구 데이터 다운받는 방법 (0) | 2024.02.01 |
---|---|
QGIS 벡터 병합 - 선택한 객체 병합, 꼭짓점 도구 사용하는 방법 (0) | 2024.01.22 |
QGIS 시군구 코드 차이 - shp 파일과 데이터 조인 시 NULL 값 오류 해결 방법 (shp 파일 다운로드 O) (0) | 2024.01.20 |
QGIS 설치하는 방법(윈도우 맥 mac), QGIS 버전 차이? (0) | 2024.01.18 |
QGIS 조인 - 속성 파일(.csv) 추가하고 벡터 파일과 조인(join)하는 방법 (0) | 2024.01.17 |